Thursday, October 29, 2009

체위배담postural drainage

체위배담postural drainage
체위배담은 환자의 자세를 중력에 대해서 다양하게 변경시켜,폐엽에 형성된 분비물을 신체 중심부 기도로 점액의 흐름을 이동시킴으로 분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는 기법을 말합니다.

체위배담자세postural drainage positions
환자의 자세는 폐와 기관지의 해부학적 구조와 중력 방향을 기초로 하여 자세를 정하게 됩니다.


타진법(Percussion)
타진은 손으로 폐분절을 두드려 부착성 점액을 역학적으로 분리 및 이동시키는 방법입니다.
치료사의 손은 컵 모양을 하여 두드려 공기의 압력을 폐분절에 전달하며 율동적으로 번갈아 시행합니다.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불편해서는 안되며,민감한 피부나 여성의 가슴 위의 타진은 주의하며,부득이 필요할때에는 수건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을 덮고 시행합니다.

진동법 vibration
이 기법은 타진법과 함께 사용하며 보다 큰 기도로 분비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환자의 심호흡 시 호기 중에 흉곽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진동을 적용합니다.진동은 양손을 흉벽에 올려놓고 환자가 숨을 내쉴 때 가슴을 부드럽게 누르면서 압박 진동시킵니다.

흔들기shaking
환자 흉벽 늘골 사이에 치료사의 손을 밀착하고 호기 시에 간헐적인 진동을 주면서 흔들어 줍니다.

Thursday, October 22, 2009

Pulmonary function test(PFT) : 폐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PFT) : 폐기능 검사
1.폐활량 측정법(Spirometry)
① 폐활량 및 정적 폐용적
-TV(tidal volume):평상 호흡기량,일회 호흡량
-RV(residual volume):잔기량
-IRV(inspiratory reserve volume):흡기 예비기량
-ERV(expiratory reserve volume):호기 예비기량
-VC(vital capacity):폐활량
-IC(inspiratory capacity):흡기용량
-FRC(functional residual capacity):기능성 잔기용량,chest wall의 compliance와 lung elastic recoil이 같아서 평형을 이루는 lung volume
-TLC(total lung capacity):총폐용량
-TLC=IC +FRC=VC +RV
-RV은 spirometry만으로는 측정 불가능

② 최대 노력성 호기곡선(maximal-effort expiratory spirogram)
a.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FVC)
-제한성폐질환의 지표
b.1초간 노력성 호기(forced expiratory volume at 1sec,FEV ₁)
-폐쇄성폐질환의 지표
c.FEV ₁/FVC
d.노력성 호기 중간유량(forced mid-expiratory flow,FEF25~75%)
-노력성 호기량의 중간부분 50%의 평균속도(maximal mid-expiratory flow rate)
-환자의 노력과 가장 관계없는 부분
-small airway dz의 조기 진단에 민감
-정상인에서도 많은 변이성을 보이므로 재현성은 떨어짐
e.최대 호기유속(peak expiratory flow rate,PEFP)
-곡선에서 가장 경사가 가파른 부분
-central large airway 폐쇄시 이상소견을 보임
③ 최대 환기량(maximal voluntary ventilation,MVV)
-환자가 자발적인 최대 노력으로 1분간 호흡할 수 있는 기량
-호흡곤란의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음
-운동능력 및 수술전후의 평가에 이용

④ 사강(dead space)
-사강=TV*(1-PeCO ₂/PaCO ₂)
-PaCO ₂:arterial CO ₂tension
-PeCO ₂:mean expired CO ₂tension
-정상인의 anatomical dead space 호흡량은 TV의 약 30%(1회 호흡량의 70%만 alveolar zone에 도달)
-physiologic dead space:혈류가 흐르지 않는 폐포 공간(TV의 약 36%)

⑤ PFT에 의한 환기장애 분류
-폐쇄성 환기장애:FEV ₁/FVC 감소,FEV ₁이 주로 감소
-제한성 환기장애:FEV ₁/FVC 증가,FVC가 주로 감소
*폐질환 분류
-obstructive:천식,COPD,기관지 확장증,cystic fibrosis,세기관지염
-restrictive(parenchymal):sarcoidosis,idiopathic pulmonary fibrosis,hypersensitivity pneumonitis,
pneumoconiosis,ARDS,ILD
-restrictive(extraparenchymal):neuromuscular dz(diaphragmatic weakness,MG,Guillain-Barre syndrome,
cervical spine injury),chest wall dz(kyphoscoliosis,obesity,ankylosing spondylitis)
2.유량기량 곡선(flow-volume curve)
-obstructive:호기 시 곡선이 오목,최대 호기유량 감소,FEF50%크게 감소
-restrictive:폐활량이 주로 감소하고,유량은 별로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키가 크고 폭이 좁은 모양
-호기시 초반부 25%:환자의 노력에 많은 영향을 받음
-호기시 후반부 75%:환자의 노력과 관계없이 폐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 (재현성 높고,소기도의 초기 병변
에 예민)
-fixed obstruction:압력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호기와 흡기 시 모두 plateau 발생(예:tracheal tenosis,thyroid ca.,bilateral vocal cord palsy)
-variable extrathoracic obstruction:호기 시에는 내경이 확장되어 유량에 이상이 없으나,흡기 시에는 대기압에 비해 상기도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도 내경이 좁아져서 plateau가 발생(예:croup,laryngitis, tracheal malacia, laryngeal or tracheal trauma)
-variable intrathoracic obstruction:흡기 시에는 흉곽 내압이 음압이 되어 기도폐쇄 부위가 확장되어 유량에 이상이 없으나,호기 시에는 반대로 plateau가 발생(예:COPD,bronchial asthma)

3.폐용적의 측정
-RV 측정
-불활성 가스 방법
-체적변동 기록법(body plethysmography):정확,compliance도 구할 수 있음
-면적 측정법

4.기도저항
-생리학적인 실제 기도저항치를 측정하는 것(대개 체적변동기록법을 이용)
-R=?P(대기압-alveolar pressure)/flow
-말초 소기도를 주로 침범하는 COPD의 초기진단에는 예민하지 못하고,심한 만성기관지염이나 천식의 진단 및 경과
판단에 이용 가능
-임상에서 폐쇄성 폐질환의 진단 및 severity 판단은 보통 노력성 호기유량곡선을 이용

5.폐탄성(lung compliance)
-폐의 distensibility(확장성)을 표시하는 지표로 elastic property의 기능
-정의:transpulmonary pressure 변화에 따른 폐용적의 변화
-transpulmonary pressure =alveolar pr.-pleural pr.=구강압-식도내압
① 정적 폐탄성(static lung compliance)
-호흡이 정지되었을 때 측정
-폐용적의 차이에 의한 변동을 없애기 위해 compliance/FRC로써 나타냄
-정적 폐탄성=TV/inspiratory plateau pr.
-증가:emphysema
-감소:폐부종,무기폐,폐렴,restrictive lung dz.
② 동적 폐탄성(dynamic lung compliance)
-동적 폐탄성=TV/(peak inspiratory pr.-PEEP)
-흡기말과 호기말의 폐용적 차이를 transpulmonary pressure로 나눈 것
-frequency dependent lung compliance또는 effective respiratory system compliance라고도 부름
-정상인에서는 호흡횟수를 증가시켜도 동일하게 유지
-기도폐쇄가 있는 경우에는 호흡횟수를 증가시킬수록 감소
-폐쇄성 폐질환의 폐에서는 폐의 균질성이 변화하여,호흡이 빨라지면 폐의 일부분에서는 공기의 출입이 늦어져 폐용
적의 변화가 적어지고 따라서 동적폐탄성이 감소됨
6.폐쇄용적(closing volume)
-single breath N ₂washout curve:RV까지 숨을 내쉰 다음,100%O ₂를 총폐용량까지 1번 흡입한 후,서서히 숨을
내쉬면서 구강에서 N ₂농도를 측정하여 그래프를 그린 것
-1단계:상기도 내의 100%O2만 나옴
-2단계:dead space +alveolar air(서서히 N2 농도가 증가)
-3단계:상부/하부 alveolar air가 동시에 배출되어 일정한 농도 유지
-4단계:하부의 기도가 폐쇄(하부의 흉막강압이 상부보다 높기 때문),상부에서만 N2 배출(고농도의 N2)
-CV:기도폐쇄가 일어나는 폐용적(4단계의 시적점),small airway obstruction 시 CV 증가
-CV이 증가하는 경우:폐기종,천식,기관지염,흡연,노인,CHF(평상 호흡시에도 하부기도의 폐쇄가 일어나 V/Q mismatch 초래)

가스 교환의 장애
1.정상 호흡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
-폐포까지 신선한 공기를 적절히 공급하는 것(환기,ventilation)
-적절한 혈액의 순환(관류,perfusion)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가스의 원활한 이동(확산,diffusion)
-폐포 가스와 모세혈관 혈액 사이의 적절한 접촉(ventilation-perfusion matching)
2.Oxyhemoglobin dissociation curve
-shift to right:온도 증가,pH 감소,PaCO ₂증가,2,3-DPG 증가,빈혈,저혈압,고지대
-shift to left:온도 감소,pH 증가,PaCO2 감소,2,3-DPG 감소,abnormal Hb,CO 중독
-2,3-DPG(diphosphoglycerate):O2보다 Hb에 대한 결합력이 커서 증가하면 ,Hb의 산소친화도를 감소시켜,O2는 Hb에서 해리되어 조직으로 공급
-Bohr's effect:PaCO ₂가 증가하면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Haldane effect:CO ₂해리곡선은 HbO ₂가 많이 형성될수록 오른쪽으로 이동
-혈액내에서의 O2 운반:Hb(97%),dissolved state(3%)
-혈액내에서의 CO2 운반:Hb(20~30%),HCO3(60~70%),dissolved state(7~10%)
3.Pulse oxymetry
-cutaneous arterial blood에서 산소 포화도(oxygen saturation,SaO ₂)를 구함
-원리:oxygenated Hb과 total Hb를 측정하여 oxygenated Hb%을 계산
-60mmHg 이상의 PaO2에서는 PaO2의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함
-PaO2와 SaO2의 관계는 온도,pH,2,3-DPG 등의 영향을 받음
-cutaneous perfusion 감소시 측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음(예:low CO,vasoconstriction)
-carboxyHb,metHb 등은 측정하지 못함

4.Alveolar ventilation
-PaCO ₂가 가장 잘 반영
-PaCO ₂=0.863*VCO ₂/Va
-VCO ₂:분당 체내 CO ₂생성량
-VA:폐포 환기(alveolar ventilation)
5.Arterial hypoxemia의 evaluation
① 저산소혈증의 기전
-낮은 흡입 산소 농도
-폐포 환기 저하(hypoventilation)
-단락(shunt)
-환기-관류 불균형(V/Q mismatching)
-확산장애:대부분 V/Q mismatching을 동반
② 감별진단
-우선 PaCO ₂확인,증가되면 hypoventilation 확인
-hypoventilation:respiratory drive 감소,NM dz
-다음 (A-a)DO ₂확인
-Alveolar-arterial O ₂difference=PAO ₂-PaO
-PAO ₂=150-1.25*PaCO ₂(이상적 조건)
-(A-a)DO2=150-1.25*PaCO2-PaO2
-정상치 15mmHg 이하(30세 이하),10년마다 3씩 증가,노인에서는 30까지도 가능
-(A-a)DO ₂증가:shunt,V/Q mismatching,diffusion 장애
-(A-a)DO ₂정상:low inspired PO ₂,hypoventilation(PaCO2는 증가)
③ shunt
-desaturated blood가 alveolar-capillary level에서 oxygenation되지 않고 통과하는 것(ventilation=0)
-O ₂supply로 교정 안 됨!
-예:atelectasis(ARDS),intraalveolar fluid filling(ARDS,CHF,폐렴),선천성 심장병,pulmonary arteriovenous shunt
④ V/Q mismatch
-임상적으로 가장 흔한 hypoxia 원인
-high V/Q area(high PaO ₂)에서의 혈류와 low V/Q area(low PaO ₂)에서의 혈류가 합쳐져서 arterial hypoxia를 일으킴
-O ₂supply로 교정됨

-예:천식,COPD,ILD,폐렴,pul.embolism
-apex로 갈수록 V/Q ratio 증가(ventilation에 비해 perfusion이 더 많이 하강)
-apex로부터의 혈액이 base로부터의 것보다 PO ₂높고,PCO ₂낮다



-저산소증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전신혈관은 확장,폐혈관은 수축

6.폐확산능(Diffusing capacity,DLCO)
-확산: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분자의 수동적 이동
-주로 0.3%CO 가스를 이용하여 측정
① 영향을 미치는 인자
-alveolar-capillary surface area
-alveolar-capillary barrier thickness
-pul.capillary blood volume
-degree of V/Q,pulmonary edema
-hemoglobin level
② 감소하는 경우
-ILD:alveolar-capillary unit의 scarring으로 인한 pul.capillary blood volume 및 alveolar-capillary bed area 감소에 의해)
-emphysema:alveolar wall의 파괴로 인한 surface area 감소에 의해
-pul.vascular bed의 volume 및 단면적 감소:primary pu.HTN,pul.embolism,pul.vascular dz
-membrane change:intraalveolar filling:폐렴,폐부종,ARDS 등
-폐절제술 후,빈혈 등
③ 증가하는 경우
-대부분 perfusion의 증가로
-pul.capillary blood volume 증가하는 경우:CHF(초기),MS,ASD
-alveolar hemorrhage:alveolar lumen 내의 RBC에 CO가 결합(예:Goodpasture's syndrome)
-천식
-polycythemia
-운동,비만,임신,supine position
*노인에서의 폐기능 변화
① 폐탄성 감소
② 원통형 가슴과 동반된 흉벽 강직성의 증가
③ 호흡근의 약화로 인한 근력 저하
④ 증가:FRC,RV,(A-a)DO ₂
⑤ 감소:TLC,VC,폐확산능,FEV ₁

ARDS : 급성호흡부전

[ Physiology]
사강(dead space);폐환기는 이루어지나 폐혈류가 없음.
anatomic dead space +alveolar dead space =physiologic dead space
기도부분은 혈류가 흐르지 않는 해부학적사강입니다.
모든 alveolus가 혈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alveolar dead space가 존재합니다.
VD/VT(dead space V/Total V)=0.2 ~0.3

션트(shunt);폐혈류는 있으나 폐환기가 없음
정상에서는 10%미만
anatomic shunt +capillary shunt +shunt effect =physiologic shunt
환기 관류비(ventilation/perfusion ratio);>0.8
유순도(compliance);△V/ △P
저항(resistance);△P/F

VD/VT가 0.5~0.6 정도 되거나 션트가 30~40%정도 되면 이상이 생기게 되므로
manual ventilation을 시켜줍니다.
-VA/Q=1이 정상인데 폐혈류없이 폐환기만 이루어지면 VA/Q=무한대가 되는 Deadspace unit이 됩니다. (좌)
-폐환기없이 폐혈류만 있으면 VA/Q=0에 가까워지는 Shunt unit이 됩니다.(우)

[ 급성호흡부전]
정의 -대사에 필요한 gas 교환이 불충분,
-ABGA에서 저산소혈증과 과탄산혈증의 소견

환기 부전(ventilatory failure)-Paco2 50 mmHg 이상
호흡 부전(respiratory failure)-Pao2 60mmHg 이하,Paco2 50 mmHg 이상
-100%O2 흡입 시 폐포-동맥혈 산소 분압차가 450mmHg 이상

분류

제 1 형태;이산화탄소분압이 낮은 환자군
-급성호흡곤란증후군,심인성 폐부종,심한 급성천식,폐엽성 폐렴,연기흡인
제 2 형태;이산화탄소분압이 높은 환자군
-신경근 질환,만성폐질환의 악화 ,병적비만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RDS는 급성폐손상의 가장 심한 형태이다.
정의
급성발현
저산소혈증
동맥혈산소분압/흡입산소분율 200 이하
흉부방사선상 양측 침윤성 분포
폐포모세혈관 쐐기압이 18 mmHg 이하

원인;매우다양
폐성 원인;폐흡인,흉부손상,blast injury,연기 흡인,독가스 흡인,익수,박테리아,
바이러스 protozoa에 의한 폐렴
폐외성 원인;다발성 외상,심한 패혈증,다량수혈,지방색전,췌장염,양수색전증,
저혈압의 장기지속,DIC,말라리아,독성-paraquat,salicylate

병태생리적 변화
초기 표면활성제의 비활성화 또는 소실 -탄력반동 감소 ,폐유순도 감소
폐내 션트 증가,폐포사강용적의 증가 -환기/관류의 불일치,회복 또는 비가역적 폐섬유화

[ 치료]
1.비환기 요법 조직의 산소화 유지와 폐손상 확산의 방지
-corticosteroid,표면활성제의 투여,NO 흡입
2.기계적 환기 보조

[ 기계환기보조 (mechanical ventilator)]
기계환기는 호흡기의 환기 기능에 대한 기계의 지지를 하는 의료 기계이다.이것은 생리적 지지 요법의 중
심이고 환기 보조를 통해 기저 질환 자체가 치유될 수 있을 때까지 호흡 부전을 극복하게 된다 .
음압환기
Iron lung
Chest device
양압환기
1950년;소아마비 환자에서 임상 적용
기관절개후 인공기도 삽관후 양압환기

[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PPV)]
양압환기의 그래프입니다.
흡기시간 :호기시간 =1:1입니다.
1:2로 맞춰주기도 합니다.
흡기 때 양압이 걸리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간헐적 양압 환기(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IPPV)]
양압환기 시행에 대한 적응은 분명하지 않다.
시행 여부는 임상 증세 및 증상과 혈액가스 분석 사이의 균형에 맞추어 결정하여야한다.

단계
1.산소 투여
2.기관내 삽관
3.환기보조 설정과 유지

[ 기계환기 양식의 분류(1)]
조절변수(control variable)에 따른 분류
용적조절환기(volume control ventilation,VCV)
;설정된 용량에 도달하면 호기로 전환,환자의 기도내 저항과 폐의 유순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일회 환기량을 운반할 수 있으나 기도 저항이 증가하거나 폐유순도가 감소된 경우에는 기도내 압력 증가로 인하여 폐압력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압력조절환기(pressure control ventilation,PCV)
;이미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호기로 전환,환자의 기도내 저항과 폐의 유순도에 따라
일회환기량이 일정하지 않다.

[ 기계환기의 보조양식(mode of ventilation)]

조절호흡과 간헐적 강제환기

조절환기 (control mode,CMV)
;환자의 호흡노력과 관계없이 일정한 호흡용적과 호흡수를제공,근이완제사용시/ 호흡근 마비시

보조/조절환기 (assist control mode,A/CMV)
;환자의 흡기가 유발되면 환기기에서 정해진 용량을 운반.환기기에서 환기용량을 결정하고 환자의 흡기노력에 따라 호흡수가 정해짐,환자의 호흡이 없을 때는 control rate 으로 .ICU.

간헐적강제환기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IMV)
;기계에 의한 환기보조 사이에 환자의 자발호흡을 유도.중한 상태에서 회복될 때 사용하는 환기.

동시성간헐적강제환기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SIMV)
;기계에서 정한 환기회수가 환자의 흡기노력에 일치하게 공급하는 환기양식

[ 잠깐 정리]
환자의 자발호흡허용 기계호흡시작 기계호흡
CMV X 미리 쎗팅 지속적
ACMV X 환자의 흡기노력 지속적
IMV O 미리 쎗팅 환자의 자발호흡 중간중간
SIMV O 환자의 흡기노력 환자의 자발호흡 중간중간

[ 자발환기]
자발환기 ;모든 환기가 환자에 의해 유발되고 순환되는 양식 ex)PSV,CPAP
압력보조환기 (pressure support ventilation,PSV)
;VCV나 PCV에 관계없이 환자의 자발호흡이 허용되는 양식에서 기계에서 정한 압력을
환자에게 보조하는 방식
*PSVmax;10-12ml/kg의 VT를 유발할 수 있는 압력보조환기 고평부압

지속적양압기도압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CPAP)
;자발호흡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호기말양압을 공급하는 환기양식

*mask CPAP(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NIPPV)
nasal CPAP

호흡에 문제가 있는 응급환자가 들어왔을 때의 처치입니다.
일단 intubation ->ACMV ->회복,뇌의 edema빠짐,BP정상,자발호흡 등의 소견이면 SIMV로 전환 ->SIMV의 기계호흡횟수설정을 점점 줄여나간다.->PSV,CPAP로 전환

PSV는 설정해 둔 양압만큼 환자의 흡기를 보조해줍니다.환자가 흡기를 할 때 밀어넣어주는 것이죠.
CPAP는 자발호흡이 가능한 환자에게 PEEP을 걸어줍니다.
intubation을 하면 협착 등의 부작용이 생깁니다 mask를 사용하면 꽉 맞아야 하기 때문에 ulcer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COPD환자들이 많이 합니다.

[ 호기말 양압(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PEEP)]
10 cmH2O 이하 폐포 용적 증가
10 cmH2O 이상 폐포 복원 효과
→기능적 잔기량 증가,폐탄성 호전,산소화 개선,페포내의 수분을 간질 조직으로 재분포
;흡입산소분율을 증가시켜도 저산소혈증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 보다 낮은 흡입산소분율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을 호전시켜 산소독성의 위험율을 감소시킨다.
폐포용적을 증가시키고 쪼그라든 폐포를 펴주는 역할!

단점:심박출량을 감소
폐의 압손상 발생빈도 증가
체액의 축적
폐부종(pulmonary edema)의 치료에 적용

[ 기계적 환기의 필요성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지표들]
정상 기계환기 필요
읽는 법 예시
-일회호흡량의 정상은 5~8mL/Kg이다.
-5ml/kg미만이면 기계환기를 실시합니다.
-100kg이면 500~800ml가 정상,500ml미만이면 기계환기 실시

환기력
일회호흡량(VT,mL/Kg)5 -8 <5>35
폐활량(mI/Kg)65 -75 <10-15>20
폐포-동맥혈 산소분압차이
100%산소흡입시 (mmHg)25 65 >450
동맥혈산소분압/폐포내산소분압 0.75 >0.15
동맥혈산소분압/흡입산소분율(FiO2)>400 <200>0.60

동맥혈이산화탄소분압(mmHg)35 45 >55

[ 환기보조의 설정 과 유지] ★★
일회호흡량(VT);10 mL/Kg (5 8 mL/Kg)이내에서 조절,최고 흡기압이 35 cmH2O 넘지 않게
호흡수(RR);각 연령에 따른 생리적인 수치
유량(flow rate);40 LPM
흡기:호기 비율 (I :E ratio);1 :2
low level PEEP
FiO2;처음 0.6
PaO2 75 90 mmHg 가 되도록
CMV등을 실시할 때 mode를 설정할 때 기준이 되는 수치입니다.
VT는 10ml/kg이하로 조절
소아의 경우 호흡수가 많은 것처럼 연령에 따라 호흡수는 다르기 때문에 연령을 고려합니다.
유량은 일분에 40L가 흐르는 속도로 조절합니다.
흡기:호기 =1:2가 정상호흡비입니다.
PEEP을 너무 세게 걸면 부작용이 생기므로 low lovel로 겁니다.
Myasthenia gravis 환자는 폐실질이 깨끗하므로 FiO2를 0.2~0.3만 겁니다.

[ ARDS에서의 환기보조]
최소의 흡입 산소분율로 다른 장기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적절한 산소화 유지 및
정상 폐부위 손상을 최소화하며 폐쇄된 폐포들을 gas 교환에 복원시킨다.
end-inspiratory pr;30 35 cmH2O 이하로 유지
*permissive hypercarbia ,high PEEP

[ 환기보조의 부작용]
1.순환부전;심장으로의 정맥환류 감소 → CO,,BP 감소 →장기로의 perfusion 감소
2.VILI (ventilator induced lung injury)
;barotrauma,volu-trauma
→긴장성 기흉,종격동 및 심장기종,피하기종,폐감염,폐실질의 폐부종,기관지변성,shearing injury,
biochemical injury
3.기관내 삽관에 의한 부작용
압력을 주다보니 순환부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높은 TV,높은 압력이 제공되면 VILI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intubation으로 인한 협착이 제일 무섭습니다.감염이 생길 수 있고 가래 등을 제대로 suction을 하지 못할 경우 폐렴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기계환기에서의 이탈]
동맥혈 가스분석 정상
폐활량(vc);15 mL/min ->[ 10ml/kg이상]
흡입력;-20 cmH2O 이상
일회호흡량 체중 Kg당 2 mL 이상
호흡수 분당 25회 이하
이탈을 시작하기 전에 기존의 장기기능 부전 에서 회복되어야 한다.
혈역학적상태가 정상 저혈압과 고혈압,부정맥 교정위의 왼쪽 조건일 때 weaning.CO,BP,맥박 모두 정상이어야 가능.
weaning은 천천히 시행.

산소요법(oxygen therapy)
목적 ;저산소혈증을 교정,저산소혈증으로 인한 호흡작업량의 감소,심근작업량 감소
동맥혈 산소 함량(CaO2),(mL/dL)=[ 0.003 X 동맥혈 산소분압(PaO2)] ---㉠
+[ 혈색소(Hb)X 1.34 X 동맥혈 산소포화도(SaO2)] ---㉡
*고압 산소통;혈장 용해 산소량을 증가시킨다.
저산소혈증이 산소요법의 주된 적응증이 되겠습니다.
㉠항은 plasma에 녹아있는 산소량이고 ㉡항은 혈색소와 결합한 산소의 양입니다.
고압산소통은 3기압정도로 유지시켜주는데 ㉠항에 해당하는 plasma의 산소함량을 증가시켜줍니다.

[ 산소투여장치]
산소투여장치 ;nasal cannula,mask,tent,hood,endotracheal tube
저유량/변동흡입산소분율 산소투여 장치 ;nasal cannula,oxygen mask,face tent,oxygen hood
고유량/고정흡입산소분율 산소투여장치 ;Venturi mask
nasal cannula,mask,tent,hood,endotracheal tube등의 장치를 통해 산소를 제공합니다.

O2 flow meter로 측정했을 때 분당 4~6L정도 산소를 투여하면 저유량산소투여장치이고
venturi mask처럼 밀착시킨 상태에서 분당 50L이상 산소를 제공하면 고유량 산소투여장치입니다.
“Guideline for Estimating FiO2 with Low Flow Oxygen Device ”가 나와 있는데 table을 다 옮길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간략히 요약하면 “Nasal cannula 또는 catheter는 저유량,저FiO2설정 가능/ Oxygen mask는 중간정도의 유량,중간정도의 FiO2설정 가능/ Mask +reservoir bag은 더 고농도의 FiO2와 더 높은 유량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산소요법의 합병증]
화재와 폭발
점막의 건조
산소독성;superoxide anion,single oxygen,hydroxyl radical,hydrogen peroxide,폐와 망막에 독성
CO2 narcosis
산소독성과 FiO2가 증가하면 호흡을 하지 못하는 CO2 narcosis가 생깁니다.

[ 합병증예방]
가스의 가습 ;호흡기 점막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입가스의 가습 및 가온이
필요하다.건조하면 점막분비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점막의 섬모청결 작용에 장애가 발생한다.
분무요법 ;기관지에 분무로 공급할 수 있는 약물
기관지확장제;isoproterenol,isoetharine,albuterol,metaproterenol,racemic epinephrine
기도 청결 유지 ;흉부물리요법,체액배출,흉곽 타진 및 진동
가습이 상당히 중요합니다.기도 청결유지를 위해 suction으로 분비물을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Thursday, October 8, 2009

Oxygen Therapy & Delivery Device

산소요법 장비의 원리와 사용법

1. 산소 요법 장비
2. 가습기 (Humidifier)
3. 에어로졸 치료

1. 산소 요법 장비
가. 산소 요법의 목적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거의 모든 환자는 산소 치료를 받게 된다. 이렇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산소 치료의 목적으로는
1) 저산소혈증(hypoxemia)의 교정,
2) 호흡운동부하(Work of Breath)의 감소,
3) 심근운동부하(Myocardial Work)의 감소
4) 폐의 가스교환 능력의 진단 등이 있다.

나. 산소 공급 장치의 분류
1) High flow system : Venturi mask
2) Low flow system : Nasal cannula, Oxygen mask, Reservoir bag

1) 고유량법 (High flow system)
가) 환자가 호흡하는 흡입 공기 전체를 system이 모두 공급하는 것
나) 벤튜리 마스크 (Venturi mask)
다) 환자에게 공급되는 흡입 공기의 산소 분압이 일정하며 예측 가능하다.
라) 장점 : 환자의 호흡양상의 변화에 관계없이 산소분압을 비교적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마) 단점 : 사용하기가 간편하지 않다.

2) 저유량법 (Low flow system)
가) 환자가 호흡하는 흡입 공기의 일부만 system이 공급하고,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여 room air가 섞이는 것
나) 비 캐뉼러 (nasal cannula), 산소 마스크 (oxygen mask)
다) 환자의 호흡 양상의 변화에 따라 산소 분압이 변화된다.
4) 장점 : 사용하기가 간편하다.
5) 단점 : 호흡양상에 따라 산소분압이 달라진다.


저유량 산소요법은 호흡 양상(pattern)이 규칙적이고 일정하며 분당 환기량이 8~10 L/min,
일회호흡량이 300~700 ml, 호흡수가 분당 20회 이하이고, 흡기 기류가 10~30 L/min 사이인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만일 환자의 호흡 양상이 불규칙적이고 깊은 호흡 또는 얕은 호흡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저유량법보다 고유량법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좋다. 저유량법에서
분당 환기량이 많아질수록(일회 호흡량의 증가 또는 호흡수의 증가) 흡입산소의 농도는
낮아지고, 반대로 분당 환기량이 적어질수록 산소농도는 높아진다.






Oxygen mask Reservoir mask Venturi mask
partial rebreathing mask
nonrebreathing mask

다. 비 캐뉼러 (nasal cannula)
비 캐뉼러는 환자에게 적용하기 쉽고 편안하다. 공급되는
산소 기류 속도에 따라 예상되는 흡입 산소 농도는 표와 같
으나 이는 정상 호흡 양상을 보이는 경우에서 계산된 것이
며 실제 환자에게 적용될 경우에는 빈호흡, 얕은 호흡 등
호흡 양상에 따라 변동이 크다. 산소줄 내에 물이 고이는
경우 산소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캐뉼러 끝에서 산
소가 제대로 나오는지 귀로 들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습병(humidifier bottle)을 사용하는 경우 병의 밀봉 부위
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라. 산소 마스크 (nonreservoir oxygen mask)
환자의 코와 입을 포함하여 얼굴에 부착하는 가벼운 플라스틱 마스크이다. 흡입 공기는 순수 산소와 대기 (room air)가 환자의 호흡 양상,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고정 정도에 따라 섞여서 공급된다. 호기 가스는 마스크 옆면의 작은 구멍을 통하거나 대부분은 얼굴과 마스크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배출된다. 마스크의 공간은 산소의 reservoir로서의 역할을 한다. 호기 가스내의 이산화탄소가 일부 마스크 내에 남아 재호흡 될 수도 있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5L/min 이상의 산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부착 : 탄력 밴드를 이용하여 가급적이면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도록 부착한다. 코 부분에 있는 유연금속밴드를 이용하여 코 부위가 밀착되도록 하여야 하나 과도한 압력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흡입 공기내의 산소 분압은 마스크 용적, 호흡 양상, 산소 유량에 따라 가변적이며 정상 호흡일 경우 산소 유량 5~10L/min에서 산소분압 0.3~0.6 정도로 예상할 수 있다. 매우 높은 유량을 공급할 경우 최대 산소 분압은 0.7~0.8까지 공급할 수 있다.

마. 저장 마스크 (Reservoir mask)
1) 부분 재호흡 마스크 (partial rebreathing mask)
2) 재호흡 방지 마스크 (nonrebreathing mask)
부분 재호흡 마스크는 호기 가스의 일부가 저장 백으로 일부 유입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호 기 때 초기에 나오는 가스는 상기도의 가스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부분(upper airway
deadspace)에서 호기되는 기류이므로 이산화탄소양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이것이 이산화탄소의 재호흡(rebreathing)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Nonrebreathing 마스크는 마스크와 저장 백 사이에 밸브가 있어서 호기 시 가스가 저장 백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으며 호기 가스는 마스크에 있는 일 방향 밸브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부착 : 산소마스크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한다. 흡기 시 빠른 깊은 호흡을 할 경우 저장 백의 양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 일부 대기가 혼합될 수 있다. 저장 백 마스크가 제대로 기능을 하려면 충분한 산소 기류 공급이 보장되어야 하며 흡기 시에도 백의 일부는 팽창되어 있어야 한다. 산소 기류가 10 L/min에서 산소 분압은 0.35~0.6 정도이며 15L 이상 공급할 경우 산소 분압은 1.0 까지 도달할 수 있다.

바. 벤튜리 마스크 (Venturi mask)
Venturi mask는 고유량법으로 환자가 호흡(흡입)하는 가스 전체를 system이 모두 공급한다. 미리 jet flow에 의하여 산소와 대기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일정한 고정된(fixed) 산소 분압을 가진 가스가 환자에게 공급된다. 벤튜리 장치의 원리는 좁은 구멍을 통하여 가스가 빠른속도로 지나가면 주위의 압력이 낮아져서 주변의 대기가 유입된다는 베르누이(Bernoulli)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임상 적용 Tip 1.
실제 임상에서 오해하기 쉬운 점의 하나는 FIO2 24%에서는 산소를 3 L로 설정하고 FIO2 50% 에서는 15 L로 설정하기 때문에 후자의 경우 환자에게 더 많은 기류가 공급되는 것으로 착각 하기 쉽다. 그러나 그림에서와 같이 산소 분압이 낮은 경우 공기 유입구가 넓어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고, 산소 분압이 높은 경우 공기 유입구가 좁아 적은 양의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

Reservoir Mask
Partial rebreathing : FIO2 range 0.35 ~ 0.6 at flows of 10+ L/min
Nonrebreathing : FIO2 range 0.6~0.7 at flows of 10 L/min

Advantage Disadvantage
-------------------------------------------------------
Higher FIO2 than simple mask FiO2 varies widely
Improved humidification versus
cannula
Unable to measure FIO2
Easy to apply Potential for CO2 rebreathing
Higher oxygen flows possible Mask limits speaking, eating, drinking

서 전체적으로 환자에게 공급되는 가스의 양은 산소 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편이다.

Table. 대기/산소 유입 비율



예 1) 28 %에서 대기와 산소가 10/1의 비율로
혼합되므로 산소 6 L + 대기 60 L
(10 x 6) = 66 L
예 2) 40 %에서 대기와 산소가 3/1의 비율로 혼합되므로 산소 12 L + 대기 36 L (12
x 3) = 48 L 가 공급된다.

임상 적용 Tip 2.
벤튜리 장치의 FIO2 OO %에 기록된 산소 설정 수치는 최소한의 산소 유량이다. 고유량법에서 는 환자가 흡입하는 기류를 모두 system에서 공급하여야 하므로 환자의 최고 흡기 유량 (peak inspiratory flow) 이상의 기류를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최고 흡기 유량은 분당 환기량
의 대략 4배 정도로 예상된다. 따라서 빈호흡(30회/분)과 일회 호흡량이 증가된(500 ml) 환자의 분당 환기량은 30 x 0.5 L = 15 L, 최고 흡입 유량은 15 L x 4 = 60 L 로 예상된다. 위
의 예 2 환자의 경우 FIO2 40%에서 산소를 12 L로 설정한 경우 총 공급 기류가 48L이므로 빈호흡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최고 흡기 유량에 못 미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와 안면사이의 틈으로 대기가 유입되어 희석되므로 결과적으로 산소 분압이 낮아지게 된다. 과호흡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같은 산소 분압이라도 산소 기류를 높게 설정하여 총 공급 기류를 충분히 보장하여야 설정한 산소 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임상 적용 Tip 3.
벤튜리 마스크 FIO2 0.4 ( O2 : 12 L/min)에서 산소 유량을 15 L로 올리면 FIO2가 증가하나 요 ? ( 산소 : 대기 유입 비율 = 1 : 3 )
: FIO2 0.4 설정에서 산소 유량을 올리면 그만큼 산소가 지나갈 때 노즐 주위에 발생하는 음압도 증가하여 대기의 유입양이 증가한다. 즉 산소와 대기의 혼합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FIO2 는 변화 없다.

Oxygen Conc.(%) Air/ Oxygen
24 25/1
28 10/1
34 5/1
40 3/1
60 1/1

12 L + 36 L (3 x 12) = 48 L 12/48 L = 0.25
15 L + 45 L (3 x 15) = 60 L, 15/60 L = 0.25
즉 산소를 12 L에서 15 L로 증가시키더라도 총 공급 기류의 양은 증가하나 산소 분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사. 공기유입 분무기 (air-entrainment neubulizer, all-purpose
nebulizer) venturi mask 에서는 가습이 불충분한데, 공기유입 분무기는 고정 산소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에어로졸 가습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농도의 산소 분압에서는 공급되는 기류의 양이 제한 (15 L 이하)되기 때문에 비교적 정상 호흡 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높은 산
소 분압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2. 가습 장비 (Humidity Equipment)
정상 상태에서는 흡입 공기는 상기도를 통과하며 가온, 가습되어 기관에 도달하면 37 oC에서 100% 가습된다. 상기도의 자연적인 가습, 가온 경로를 우회하는 기관 삽관이나 기관창냄술 (tracheostomy) 등을 하고 있는 경우 건조한 찬 기류가 기관지 점막의 건조, 궤양, 점액마개(mucus plug) 형성, 점액섬모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따라서 인공적인 의료 가스를 사용하는 환자에서는 가습, 가온 장치의 사용이 필요하다.
Recommendation for humidification levels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Respiratory Care

가. 가습 장비의 종류
1) Heat and moisture exchangers (HME)
2) Low-flow humidifiers (Unheated)
3) High-flow humidifiers(heated)

===============================================
Temperature Absolute humidity Relative humidity
-----------------------------------------------
33±2 30 % NS

나. 저유량 가습기 (Low-flow humidifiers (Unheated))
병동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가습 장비로 저유량 (<10l/min)를> 40L/min) 적용되는 인공호흡기, CPAP과 연결하여 사용된다.
Body humidity의 100% 정도로 가습 가능하다. 가습, 가온된 가스는 흡기 튜브를 지나며 온도가 떨어져 수증기가 물로 응집되어 튜브 내에 물이 고이게 된다. 일부 인공호흡기
기종(Servo)에서는 흡기 튜브 내에 가열 철선(heated-wire)이 있어서 수증기의 응집을 억제하여 가습 효과를 올린다. 적절한 온도 설정은 37.0oC 가 권장된다.

Pass-over humidifier : 가열된 물표면 위로 가스가 지나가며 가습되는 원리
Casecade humidifier (Fisher & Paykel MR 700 pass-over humidifier)




3. 에어로졸 치료

가. 에어로졸 치료 (에어로졸 : 고체 또는 액체 입자가 가스 내에 부유되어 있는 상태)
대부분의 치료용 에어로졸은 입자 크기가 1~10 μm 사이를 갖는다. 에어로졸 입자는 기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기관지 표면에 부딪혀서 침착되는 ① 관성 박힘 (inertial impaction), 중력에 의해 가라앉는 ② 침전(sedimentation)에 의하여 호흡기에 흡수된다. 입자 크기가 5~10 μm는 주로 관성 박힘에 의하여 상기도에 침착되고 1~5 μm는 침전에 의하여 하기도에 침착된다.
입자 크기에 따라 폐 내에 침착되는 정도,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MDI 제제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기법과 작동 시점이 중요하다. 정량 흡입기, 저용량 분무기는 약제를 흡입할 때 저속
흡입( < 0.5L/min)으로 결흐름 (laminar flow)를 유지하여 하기도에 도달하도록 하고, 흡입 후
4~10초간 호흡을 정지시키므로 에어로졸의 침전을 촉진 시킬 수 있다. 약제 흡입을 호흡의
어느 시점에서 시작할 지에 대하여도 논란이 있어왔으나 일반적으로는 FRC에서 천천히
흡입을 시작하며 MDI 제제를 작동시키도록 권고된다. DPI 제제는 lactose 운반체에 의하여
결집되어 있다가 빠른 속도로 흡입 시 소용돌이흐름 (turbulent flow)에 의하여 분산되어 기도
내에 침착된다. 즉 정량 흡입기, 저용량 연무기의 경우 빠르게 많은 양을 흡입하는 것보다
느리게 흡입 후 숨을 적절히 참는 것이 더 많은 양의 약제를 흡수할 수 있다. DPI 의 경우
빠른 속도로 흡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에어로졸은 흡입량의 10~12% 정도만 폐 내에
침착되며 기관 삽관을 하고 있는 경우 4~5 %정도만 침착된다. 에어로졸 치료는
기관지확장제, 진해 거담제, 유도 객담 채취 시 사용된다. 객담의 점도가 높은 경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신적인 수분공급, 물리치료에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인두기관기관지염, 크룹, 발관 후 부종 시에 사용될 수 있다.

나. 에어로졸 치료 기구
1) 저용량 분무기 (small-volume neubulizer; SVN)
2) 정량 흡입기 (metered-dose inhaler; MDI)
3) 건조가루 흡입기 (dry-powder inhaler; DPI)
4) 대용량 제트 분무기 (large-volume nebulizer)
5) 초음파분무기 (ultrasonic nebulizer; USN)

다. 저용량 분무기 (small-volume neubulizer)
가장 초창기에 개발된 분무기로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며 간편하고 마스크, T-piece에
연결하여 기관지확장제 투여에 이용된다. 내시경 전 처치 시 사용되는 약제 분무용으로도
사용된다. 에어로졸 입자의 크기는 1~5 μm이며 효율이 낮아 투여된 약제의 10% 정도만 폐에
침착되므로 MDI 제제 사용량보다 10배 정도를 처방하게 된다. (albuterol solution : 2.5 mg
x 10% = 250 μg, Ventolin MDI 100 μg/puff x 2 = 200 μg)
저용량 분무기는 환자가 충분한 교육에도 불구하고 MDI 제제 흡입 기술이 적절치 못하거나
흡입력이 약할 때, MDI 제제를 흡입하고 숨을 4초 이상 참지 못하는 경우 사용된다. 또한
응급실 상황에서 심한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사용된다. 단점으로는 동일한 약을 전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오염으로 인한 감염 위험이 있다. 가스원은 압축 분무기 (compressor
neubulizer)를 이용한다.





라. 초음파분무기 (ultrasonic nebulizer; USN)
초음파분무기는 물속에서 진동판의 크리스탈이 빠른 속도로 진동할 때 수면에서 에어로졸
입자가 분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공기압력 방식의 분무기와 비교하여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크기가 일정하고 작으며 (3 μm), 환자의 협조가 덜 필요하며 진동, 소음이 작은
장점이 있다.
Compressor nebulizer Ultrasonic nebulizer




마. 기계 환기 중 에어로졸 치료
기계 환기 중에는 약제가 기관 삽관 튜브에 침착되기 때문에 투여 용량의 3~5% 정도만이
환자의 폐에 전달된다. 기관 삽관 튜브의 내경이 작을수록, 흡기 유속이 빠를수록 전달되는
약제의 양은 감소한다. 기계 환기 중 기관지 확장제 치료는 정량식 흡입기(MDI) 또는 저용량
분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달되는 약효는 비슷하다. 그러나 정량식 흡입기를 사용하는 것이 인공호흡기의 순환 구조, 기도압, 일회호흡량 전달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선호된다. 사용되는 약 용량은 기관 삽관 튜브에 50% 정도가 침착되기 때문에 기계 환기를 받지 않는 환자에서의 사용량보다 2배 정도를 투여한다. 저용량 분무기를 사용하는 경우 Y piece에서 46 cm 이내에 흡입 튜브에 연결한다. 정량식 흡입기를 사용하는 경우 기계환기기 순환 회로에 연결하는 여러 가지 어댑터(adapter)가 사용된다. 이중 공기통(chamber) 방식이 더 선호된다.









참 고 문 헌
1. Burton GG, Hodgkin JE, Ward JJ. Respiratory care; a guid to clinical practice. 4th
ed. Lippincott-Raven, Philadelphia,1997. pp 335-404, 421-468.
2. Shapiro BA, kacmarek RM, Cane RD, Peruzzi WT, Hauptman D. Clinical application
of respiratory care. 4th ed. Mosby-Year Book, Inc. St. Louis, 1991. pp 123-134.
3. Dhand R, Tobin MJ. Inhaled bronchodilator therap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m J Resp Crit Care Med 1997;156:3-10.
4. American association for respiratory ca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election of
device, administration of bronchodilator and evaluation of response to therap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Respir Care. 1999;44:105-113.__

Wednesday, October 7, 2009

ABGA II

실전 ABGA 신속 해독 비법=

pH, pCO2, HCO3(혹은 BE) 의 세 가지 인자들만 본다. (PaO2는 그 다음이다)

1. 이 세 인자가 모두 '↑' 이거나 '↓' 이면
: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or acidosis

2. pCO2 만 정상범위 (30-50)내에 있으면(NO RESPIRATORY COMPENSATION을 의미)
: 무조건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or acidosis

3. HCO3-(22-26mEq/L)(혹은 BE)가 정상범위 내에 있으면(NO METABOLIC COMPENSATION을 의미)
: 무조건 ACUTE VENTILATORY
hyperventilation (pCO2 ↓)
hypoventilation (pCO2 ↑)

4. pH 가 정상 범위 (7.3-7.5) 내에 있으면
compensation 이 완벽하게 된 대사상태이거나 만성 호흡기 문제 중 하나이다.
: 여기서 두 경우로 나눈다.
==> pH 7.3-7.4 (↓) 이고
pCO2, HCO3- 둘 다 방향이 같으면 (↓) :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pCO2, HCO3- 둘 다 방향이 다르면 (↑) : chronic VENTILATORY failure

==> pH 7.4-7.5 (↑) 이고
pCO2, HCO3- 둘 다 방향이 같으면 (↑) :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pCO2, HCO3- 둘 다 방향이 다르면 (↓) :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중탄산염HCO3- : 혈액내의 중탄산 이온농도를 나타내는데 신장에 의해 조절된다. 대사성 알칼리혈증이나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이 있을 때에는 수치가 상승된다.

염기과다 Base excess : 보통 정상상태의 혈청 중탄산염 농도와 대상자의 중탄산염 농도간의 차이를 말한다. 이 결과가 양의 값이면,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많음을 의미하며, 음의 값이면,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을 의미한다

ABGA : At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가스분석법은 호흡기능을 감시하는 방법중의 하나로서 PaO₂,PaCO₂,PH를 직접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이자료들을 바탕으로 HCO₃-, SaO₂,Base excess등을 산출할 수가 있다. 이는 가스교환상태, 산-염기평형 등을반영하는 지표이지만 침습적이고 간헐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침습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이로인한 동맥천자부위나 동맥카테터 삽입부위의 허혈, 감염, 동맥류와 같은 합병증이있다. 또한 동맥혈 채취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흡상태가 급속히 변화하는 경우 대상자의 상태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동맥혈가스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intra-arterial blood gas monitoring법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1. normal range and interpretive guidelines
(1) normal range - 정상 성인

(PH : 페하, 수소이온농도 PO₂2 : 혈중산소분압 SaO₂: 산소포화도 PCO₂: 혈중이산화탄소분압 HCO₃-: 탄산수소이온)

(2) Four steps method
① evaluate each number
② check the PH -----------------------------acidosis alkalosis
③ find the value that matches the PH--------respiratory metabolic
④ determine the extent of compensation----abscent partial complete

Ⅱ. 산-염기 장애
(1) 분류
1) 호흡성 : PaCO₂로 확인, PaCO₂로 폐포 환기량을 측정
-상승: 과소환기
-하강: 과다환기
-정상: 적정환기
① 호흡성 산증 (Respiratory acidosis) ; 과소환기로 인한 PaCO₂상승
② 호흡성 알칼리증 (Respiratory alkalosis) ; 과다환기로 인한 PaCO₂하강

2) 비호흡성 (신성, 대사성) : HCO₃-, BE (염기과다, 염기부족)로 확인
① 대사성 알칼리증 (Metabolic Alkalosis) : HCO₃-상승
②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 : HCO₃-저하

(2) 산-염기 불균형에 대한 보상작용
PH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체의 생리적 반응으로 일차 침범요소가 아닌 요소를 변화시킴으로써 PH를 정상수치에 가깝게 되돌리려는 기전이며 신체는 절대 과잉보상하지 않는다.
1) 보상작용 - 호흡성 보상작용: 빠르게 진행 ( 수시간)
- 신성 보상작용: 느리게 진행 (수일간)
2) 보상의 정도
- uncompensated : PH는 정상범위 밖에 있음 ex)PH / PaCO/ PaO/HCO / BE

7.15 / 62 / 67/ 22 /( -1) : uncompensated resp. acidosis
7.28 / 41 / 87 / 26 /( -2) : uncompensated met.acidosis
7.54 / 38 / 140 / 34 /(+2) : uncompensated met. alkalosis
- partial compensated : PH는 정상에 가깝다.
- compensated : PH는 정상이나 다른 수치는 정상범위밖에 있음

(3) 판독지침



Ⅲ. Clinical approach to interpretation
(1) Step 1 ; Respiratory component and metabolic component에 의한 영향과acid-base 불균형의 type 분류
(2) Step 2 ; Assessment of Arterial Oxygenation

(1) Step 1
pH와 PCO2를 통해서 예견되는 Respiratory pH를 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metabolic component 변화를 평가(base excess/deficit)한다.
1) Determing the predicted 'Repiratory'pH - base excess:

측정PH > 예측PH base defict :측정PH < 예측PH - 만일 PaCO2가 40보다 더 크다면 , 40과의 차이를 2로 나누어서 소수점 두 자리를 왼쪽으로 옮긴다. 이를 7.4로부터 뺀다. - 만일 PaCO2가 40보다 작다면, 40과의 차이에 소수점 두 자리를 왼쪽으로 옮겨 7.4 에 더한다.
Ex) ① pH 7.04, PaCO2 76 : 76 - 40 = 36 × 1/2 = 0.18 7.40 - 0.18 = 7.22
② pH 7.21, PaCO2 90 ; 90 - 40 = 50 × 1/2 = 0.25 7.40 - 0.25 = 7.15
③ pH 7.47, PaCO2 18 ; 40 - 18 = 0.22 7.40 + 0.22 = 7.62
2) Determing the metabolic component measured pH와 앞에서 구한 Respiratory predictedpH 사이의 차이를 구하고, 거기서 소주점 두 자리를 오른쪽으로 옮긴다. 그 후 2/3을 곱한다.
Ex) ① pH 7.04, PaCO2 76, predicted pH 7.22 ; 7.22 - 7.04 = 0.18 × 2/3 = 12mmol/L Base deficit
② pH 7.21, PaCO2 90, predicted pH 7.15 ; 7.21 - 7.15 = 0.06 × 2/3 = 4mmol/L base excess
③ pH 7.47, PaCO2 18, predicted pH 7.62 ; 7.62 - 7.47 = 0.15 × 2/3 = 10mmol/L Base deficit

3) bicarbonate administration bicarbonate therapy는 그 원인과 위중도에 의하며, 아래의 측정량의 절반을 투여한후 5분뒤 blood gas 측정을 통해 교정정도를 파악하고 다음 투여용량을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ase deficit X weight (kg) = deficient mmol of bicarbonate

주의할 점은 혈장을 과다할 정도로 빠르게 염기화시키는 것을 피해야한다. 이는 강축을 유발할 수 있다. 염기와 함께 과량의 염분을 주면 고혈압이나, 부종을 악화시킬 수있으며 급속한 주사는 위중한 경우에 따라 사망에 이르는 심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CVP를 통해 일시에 줄 때 더욱 그렇다.

(2) Step 2 ; Assessment of Arterial Oxygenation 동맥의 산소화 상태에 대한 완전한 평가하는데는 Hb content (Hb [g/dl]), Oxyhemoglobin saturation (SaO2[%]) , arterial oxygen tension (동맥산소압 PaO2),을 필요로 한다.

1) Hb content 정상 성인의 Hb 수치가 12g/dl 보다 크다고 할지라도, 8g/dl 이상의 Hb 수치는 심근의 기능이 적절한 환자에 있어 산소 운반 능력은 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심장 질환 환자는 적어도 10g/dl가 필요하다.

2) Oxyhemoglobin Saturation (산소 포화도) 산소포화도는 정상 상태에서 PaO2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상관관계가 있다. 이런 상관 관계에 불균형이 있을 때는 언제나 Hb-oxygen affinity (헤모글로빈-산소 친화력)의 변화와 연관된다. 친화력 감소가 있을 때 그것의 임 상적판단은 PaO2보다는 오히려 SaO2를 기초로 한다.

표2】 adult value for PaO₂ and SaO₂

(Hypoxemia :저산소혈(증) Mild : 가벼운 Moderate : 중간정도의 Severe : 극심한) 3) Arterial Oxygen tension (산소분압)

표3】 Arterial oxygen tensions and oxygen saturation



성인에서 arterial hypoxemia는 PaO2(산소분압)가 80mmHg 미만으로 정의한다. 왜냐하면 산소포화도 95%인 혈액과 비교해 볼 때 산소포화도 90%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은 임상적으로 큰 의미있는 차이가 없다. 대부분 임상적으로 중요한 hypoxemia는 PaO2가 60mmHg 미만일 때이다.

moderate hypoxemia(PaO₂ 40-60mmHg)인 환자의 적절한 tissue oxygenation의 유지는 심혈관계 기능과 산소 소비에 주요 의존한다.그러나 severe hypoxemia (PaO₂<40mmHg)는 tissue oxygenation에 직접적 위협으로 고려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 상태에서 systemic capillaries에서 “dirving force"의 감소가 있고, oxyhemoglobin saturation이 75% 미만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세혈관에서 세포 외액으로 산소 분자의 운동이 줄어들게 된다. 1 기압하에서 건강한 성안 정상 PaO₂는 대개 97mmHg다. 이 수치는 정상적인 폐포-동맥간의 산소 분압차 4mmHg에 의해 계산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폐포의 PaO₂는 101mmHg다. 그런데, PaO₂는 잠을 자는 동안에 80mmHg 까지 정상적으로 떨어 질 수 있고, 흥분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105mmHg 까지 올라갈 수 있다. 산소 분압의 정상 범위에 주요한 두 가지 예외가 있다. 첫째, 정상 신생아는 대개 산소 분압이 40과 70mmHg 사이일 수 있다. 둘째, 60세 이상의 환자의 경우에는 정상 적으로 최소 80mmHg level에서 매년 1mmHg의 비율로 감소할 수 있다.

4) oxygen therapy

① hypoxemia 정의: 혈색소가 정상이면서 동맥혈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PaO2로 평가 원인: 환기저하나 순환 및 환기불균형등으로 인한 폐포내 산소분압의감소가 있을 경우 우심실에서 산소화되지 않은 혈액이 직접 좌심실로 흘러가는 경우
② hypoxia 정의: 조직에서의 산소화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대사물로 CO₂를 생성하는 대신 다른 대사물을 만들어 대사성 산증에 빠지게 한다. 원인: 동맥혈 산소분압 저하 - 기도폐쇄, 폐포환기능 저하, Shunt율 증가 동맥혈 산소함량 부족 - Hb함량 저하, 일산화탄소 중독 심박출량 저하 - 심근기능저하, 관상순환 부전말초혈관 저항 증가, 부정맥 산소요구 증가 - 발열, 화상, 갑상선 기능항진
③ 산소요법의 목적 폐포내 산소분압의 증가로 hypoxemia 개선 적절한 폐포내 산소분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work of breathing의 감소 적절한 동맥혈 산소분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myocardial work를 줄임
④ inspired oxygen to PaO₂relationship normal lung 【표4】 FIO2 0.1 증가 즉, inspired oxygen concentration 10% 증가는 거의 inspired oxygen tension 75mmHg( 760mmHg의 10% )에 해당한다. 정상 폐에서 이것은 이상적 alveolar oxygen tension 50mmHg에 해당한다. ⑤ 산소요법의 부작용 a. 흡수성 무기폐 (absorption ateletasis) 100% 산소를 흡입하면 폐포내 대부분의 질소는 15분 이내에 체외로 배출되고 일부 환기가 잘 안되는 폐포는 가스 용적이 결여되어 허탈상태로 빠지게 된다. 이런현상으로 임상에 산소요법시 60-100%의 산소흡입시



PaO₂가 별로 개선되지 않는 현상을 보인다.

b. 폐 산소중독 (pul. oxygen toxicity)
고압의 산소투여시 또는 미숙아에게 산소투여시 나타날 수 있다. 정상폐의 경우PaO 350mmHg (FiO₂ 0.6)이하에서는 임상적으로 심각한 폐손상을 초래하지는않지만 이미 폐손 상이 있었던 경우는 0.5이상에서도 심한 폐기능 이상을 보인다.
폐의 산소중독의 감소를 위해 EP, 기관지 확장제 등이 사용된다.

c. 수정체후 섬유증식증 (retrolental fibroplasia) 조산아의 3-43%에서 발생하며 35주 미만이나 2kg이하의 미숙아에서 잘 발생한다. 망막혈관은 산소에 반응하며 수축하는데 PaO₂100mmHg에 대해 수축이 잘되며O₂150mmHg에서는 1-2시간만 경과해도 수축된다.

d. CO₂Narcosis
만성폐질환으로 이산화탄소 중독과 저산혈증이 함께 있는 환자는 화학적인 호흡조절 기능이 변하여 이산화탄소 에 대한 감수성을 억제되어 있으며 호흡은 저산소성 자극에 의해 유지된다. 이런 환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면 저산소성 자극이없어지므로 곧 호흡이 억제되어 PaCO₂가 급상승하여 호흡부족 현상이 더 악화되며,심하면 CO₂Narcosis 에 빠진다. 이런 환자는 산소의 농도를 소량으로 하여 (0.24-0.3) 투여하여 저산소성 호흡자극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Ⅳ.Case Studies in Blood Gas Interpretation & Assessment
1) Pulmonary Embolus
A 67 years old woman had a closed reduction of a leg fracture without incident. Four days later she experienced a sudden onset of severe chest pain and shortness of breath.
Room air aterial blood gas values and vital sign were :
pH 7.36 BP 130/90mmHg PCO2 33mmHg PO2 55mmHg
pulse 100/min RR 25/min SO2 88% MV 18L
HCO3- 18mmol/L BE -7mmol/L
Interpretation
# step 1
1) respiratory component ; PCO2 40 - 33 = 7
-> predicted respiratory pH 7.47
2) metabolic component : 7. 47 - 7.36 × 2/3 = 7mmol/l base defict
=>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 step 2
=> moderate hypoxemia
2) metabolic acidosis
a 17-years old, 48Kg woman with known insulin-dependent diatbetes mellitus entered the emergengy department wiht Kussmal breathing and an irregular pulse. Room air arterial blood gas values and vital signs were ;
pH 7.05 BP 140/90mmHg PCO2 12mmHg PO2 108mmHg
pulse 108/min RR 40/min tidal vol. 1.2L MV 48L
HCO3- 5mmol/L BE -30mmol/L

Interpretation ; severe metabolic acidosis without hypoxemia IV glucose and insulin were immediately administered. A judgement was made that the severe academia was adversely affecting cardiovascular function and it was elected to restore the pH to the vicinity of 7.20.
Calculate the amount of sodium bicarbonate you would administer.
48Kg × 1/4 = 12 L
Because the goal was to partly correct the acidemia, approximately one half of the calculated deficit was intravenously administered (3 ampules @ 50mmol/ampule) over a 15min time interval. Room air arterial blood gas values and vital signs were ;
pH 7.27 BP 130/80mmHg PCO2 25mmHg PO2 92mmHg
pulse 100/min RR 22/min tidal vol. 0.6L MV 13.2L
HCO3- 11mmol/L BE -14mmol/L

3) metabolic alkalosis
A 47 years old man collapsed on the street. CPR was asttemped by people at the scene. When the
paramedics arrived, the patient was cyanotic and pulseless ; the airway was cleared, ventilation was
established with high oxygen concentration, and closed-chest cardiac compressions were commenced.
Within 2 min there was a palpable pulse, and the skin color improved.
An intrevenous line was established with 5% dextrose solution, and 100mmoles of sodium bicarbonate was administered. On arrival to emergency department, the patient was arousable.
The FIO2 was 0.4 ; arterial blood gas values and vital signs were :
pH 7.51 BP 115/90mmHg PCO2 35mmHg PO2 62mmHg
pulse 115/min RR 12/min tidal vol. 0.5L MV 6L
HCO3- 27mmol/L BE +5mmol/L
Interpretation ;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with uncorrected hypoxemia
The metabolic alkalosis is most probably secondary to the sodium bicarbonate adminstration during CPR Pulmonary disease is the most probable cause of the uncorrected hypoxemia.

Oxygen Therapy

1. 목적
- 폐포내 산소분압을 증가시켜 저산소혈증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 폐포내 산소분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호흡작업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 동맥혈 산소분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심근작업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2. 적응증
- 저혈압, 고혈압, 빈호흡, 청색증
3. 합병증
- 흡수성무기폐, 폐산소중독, 수정체후 섬유증식증, 이산화탄소중독
4. 체 위
- 반좌위

비강 캐뉼라 (Nasal Cannula)
1. 준비물품
- 산소유량계, 산소, 증류수, 비강 캐뉼라, 연결튜브, 거즈
2. 과정 및 환자 간호
(1) 환자에게 산소요법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환자의 보호자에게 산소 투여시 요구되는 안전수칙을 알려준다.
(3) 준비물품을 환자의 침상가로 가지고 간다.
(4) 환자에게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5) 산소탱크 또는 wall O₂outlet에 산소유량계를 꽂고 급습기에 증류수를 넣는다.
(6) 산소유량계에 연결튜브와 캐뉼라를 연결한 후 지시된 용량으로 유량계를 조절하여 산소가 나오는지를 확인한다.
(7) 캐뉼라를 환자의 얼굴로 가져가 관을 비공에 끼운 다음 탄력밴드로 머리에 고정시킨다. 필요시 거즈를 대준다.
(8) 안색, 호흡상태, 불편감 등 산소에 대한 반응을 사정하고 캐뉼라에 적응하도록 도와준다.
(9) 상태에 따라서 15~30분 정도 관찰하고 그 후에는 규칙적으로 활력징후, 안색, 호흡양상, 흉곽운동 등을 사정한다.
(10) 안전수칙을 지키고 확인한다.
(11) 주입속도와 급습기 증류수의 양을 30분마다 확인한다.
(12) 규칙적으로 저산소증의 증상(빈맥, 착란, 호흡곤란, 불안, 청색증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13) 비공의 막힘 여부를 확인한다.
(14) 산소주입 시작시간과 산소주입량,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산소마스크 (Oxygen Mask)-Simple, Breathing or Nonbreathing
1. 준비물품
- 산소유량계, 산소, 증류수, 마스크, 거즈
2. 과정 및 환자 간호
(1) 환자에게 산소요법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환자의 보호자에게 산소 투여시 요구되는 안전수칙을 알려준다.
(3) 준비물품을 환자의 침상가로 가지고 간다.
(4) 환자에게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5) 산소탱크 또는 wall O₂outlet에 산소유량계를 꽂고 급습기에 증류수를 넣는다.
(6) 산소유량계에 연결튜브와 마스크를 연결한 후 지시된 속도로 유량계를 조절하여 산소를 주입시켜막힌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7) 마스크를 코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씌운다.
(8) 환자의 얼굴 모양대로 마스크를 고정한다.
(9) 마스크가 편안하게 고정되도록 환자의 머리에 밴드로 고정시킨다.
(10) 귀 뒤나 뼈 돌출부의 밴드에 거즈를 댄다.
(11) 산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사정해서 마스크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12) 상태에 따라서 15~30분 정도 관찰하고 그 후에는 규칙적으로 활력징후, 안색, 호흡양상, 흉곽운동등을 사정한다.
(13) 안전수칙을 지키고 확인한다.
(14) 주입속도와 급습기 증류수의 양을 30분마다 확인한다.
(15) 규칙적으로 저산소증의 증상(빈맥, 착란, 호흡곤란, 불안, 청색증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16) 비공의 막힘 여부를 확인한다.
(17) 산소주입 시작시간과 산소주입량,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안면 텐트 (Face Tent)
1. 준비물품
- 산소유량계, 산소, 안면 텐트
2. 과정 및 환자 간호
(1) 환자에게 산소요법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환자의 보호자에게 산소 투여시 요구되는 안전수칙을 알려준다.
(3) 준비물품을 환자의 침상가로 가지고 간다.
(4) 환자에게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5) 산소탱크 또는 wall O₂outlet에 산소유량계를 꽂고 급습기에 증류수를 넣는다.
(6) 연결튜브에 연결된 텐트를 환자의 얼굴에 씌운 다음 머리 뒤로 고정시킨다.
(7) 지시된 용량으로 산소유량계를 조절한다.
(8)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고 안면 텐트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9) 상태에 따라서 15~30분 정도 관찰하고 그 후에는 규칙적으로 활력징후, 안색, 호흡양상, 흉곽운동
등을 사정한다.
(10) 안전수칙을 지키고 확인한다.
(11) 주입속도와 급습기 증류수의 양을 30분마다 확인한다.
(12) 규칙적으로 저산소증의 증상(빈맥, 착란, 호흡곤란, 불안, 청색증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13) 비공의 막힘 여부를 확인한다.
(14) 산소주입 시작시간과 산소주입량,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 산소전달장치의 종류와 특징 >
1. 고유량장치
장비내의 가스유량과 보유 용량이 환자의 흡식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환자는 기P가 제공하는 가스만으로 호흡하게 된다. 고농도에서 저농도까지의 산소공급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며 venture mask(그림 1)가 있다. Venturi mask는 산소가 빠른 속도로 산소분출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서 실내공기가 일정한 비율로 빨려 들어가 산소와 실내 공기가 혼합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는 장치로, 25~40% 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2. 저유량장치
장치내 가스유량이 총흡식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호흡용적의 일부가 대기로 보충되어야 하는 것이다. 산소 농도가 정확하지 못한 것이 단점이나 사용하기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고 쉽게 구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
표1. 저유량장치의 종류

종 류 장 점 문제점 비 고

비강 캐뉼라
(그림 2)

• 안전하고 간편 하다 농도 40% 이상의 산소는 공급할 수 없다
• 얼굴에 맞출 수 있다 비강폐쇄 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다(점막부종 또는 폴립)
• 저농도 산소공급시 효과적이다 6L/분 이상 초과시 두통이나 점막건조를 초래할 수 있다
• 활동이 자유롭다 캐뉼라가 쉽게 빠질 수 있다
• 값이 저렴하다 환자가 의식이 명료 하고 협조적이어야 한다


• 캐뉼라는 8시간마다 깨끗하게 닦고 비강간호를 제공한다
• 환자가 안절부절못하면 반창고로 캐뉼라를 고정한다
• 코 아래와 귀 뒤의 눌리는 부위를 점검한다
• 필요하면 거즈를 대준다
• 젤리로 입술과 코를 촉촉하게 하되, 캐뉼라가 막히지 않게 한다

단순 산소 마스크


• 고농도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한다 • 피부를 자극한다
• 코와 입의 점막을 건조시키 지 않는다 • 더 높은 농도의 산소가 필요할 때 꽉 조이게 된다
• 식사와 대화에 방해를 받는다
• 농도 40% 이하인 산소는 공급할 수 없다
• 장기요법시에는 비실용적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 마스크와 뼈가 돌출된 얼굴 사이에 패드를 댄다
• 손가락으로 얼굴을 마사지 한다
• 2시간마다 얼굴을 씻고 건조시킨다
• 5L/분으로 용량을 유지한다
• 끈을 너무 조이지 않는다
• 마스크는 8시간마다 닦아 준다

부분 재호흡 산소 마스크(Partial Rebreathing)

• 산소보유백은 산소농도가 높은 환자의 호기시 공기를 재호흡하게 한다. 이것이 환자의 FiO를 증가시킨다
• 정확한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꽉 조이면 불편감을준다
• 식사나 대화에 방해를 받는다
• 피부를 자극한다
• 백이 돌아가거나 꼬일 수 있다

• 흡기 동안에는 절대로 백의 공기를 모두 빼지 않는다. 필요시 유량을 증가시킨다
• 백을 비틀지 않는다
• 실내공기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가지런히 놓는다
• 안전 밸브는 산소가떨어졌을 때 공기를 들여보낸다
• 35~60%의 고농도산소를 효율적으로제공한다
• 높은 습도를 제공한다
• 점막을 건조시키지않는다
• 장기요법에는 비실용적이다
• 처음에 백을 부풀리려면 호기시 마스크를 씌운다

Oxygen hood
(그림 5)

• 간편하다
• Isolette 보다 더 정확한 농도의 산소를 제공한다
• Venturil 장치에 연결될때 고유량장치로 기능한다
• 높은 습도를 제공한다
• 피부를 자극한다
• 네블라이져와 함께 사용해야한다
• 후드 안에 있는 동안 먹일 수 없다
• 활동적인 아이는 후드를 제거할 우려가 있다
• 접촉 부위에 수건이나 스펀지를 댄다
• 머리 주위의 침상을 건조하게 유지한다
• 가열된 네블라이져를 사용할 때는 후드의 온도를 4시간마다 점검하여 34.4~35.6°C를 유지하여야 한다.

Croupette
(그림 6)

• 대개 소아에게 사용한다
• 높은 습도와 분무요법을 제공한다
• 환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 캐노피(덮개) 는 1회용이다


• 일단 텐트를 열고 나면 산소농도가 요구되는 데 15~20분이소요된다
• 물이나 얼음은 6~8시 간마다 채워야 한다
• 높은 습도가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 환아를 격리시켜야한다
• 4시간마다 온도와 산소농도를 점검한다
• 매트리스를 통해 산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린넨 아래에 고무포를 깐다
• 과도한 습기를 흡수하기 위해 시트 위에 목욕용 담요를 깐다. 환아의 린넨과 가운을 2시간마다 갈아준다
• 환아가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한다. 텐트는 청각장애를 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