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November 23, 2009

Summary for Test 1

* Procedure : Elimiminate source Barrier to transmission Monitor/Evaluate

CH4 Infection Control

HAI–5% of all patients Nosocomial : 25% Respiratory Infections  HIV,TB, Hepatitis B

Signs of Infection= Fever/Diaphoresis/↑WBC/Tachycardia/ Hyperventilation /Cough,Mucus
Pain

Source (Human + Objects) Rsp.) LVN : the greatest potential of spreading infection

Clearing, Washing

Pasteurization

Disinfection
Low – Acetic acid (White vinegar PH=2.0 ~3.0)
High – Glutaraldehyde (20 min), chlorine bleach

Sterilization

Gas – Best for heat sensitive equipment, Low temp, timeconsuming
EtO (Etylene Oxide) – Colorless, Toxic

Steam – for heat stable equipments, High temp
Rapid, reliable, inexpensive, effecient

Host : Immunization, Isolation

Most common way to break the route : Washing hand, Glove , and Isolation
Route

Contact : Direct / Indirect – Formite HIV, Hep. A / Hep B, C

Droplet : 3 ft , > 5μ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mdrome)

Airborne : < 5μ TB


Handwashing

Globe - Body fluids, mucus membrane Avian Bird Influenza

Mask (N95) – Splash or spray SARS – Contact, droplet,

Gown - during procedure

CH 15 Patient Assessment

The process of interviewing and examining the patient for the signs and symptoms of disease
and the effect of treatment

Two key source of patient data : Medical history + Physical examination

1. Medical History : CC HPI PMI demographic data, Occupational, Environmental, Social
2. Physical examination
* Primary Resp signs and symptoms : Cought – Dry, Loose/Productive , Acute , Chronic
Sputum- Amount, Viscosity, Color, Odor
Dyspnea, Chest pain, Fever , Hemoptysis
( Hematemecis )
* Level of consciousness = Confused, Delirious, Lethargic, Obtunded, Stuporous, Comatose
* Vital signs = Body temp
Pulse rate
R.R.
B.P.
Accessary muscles, Color/Skin, JVD, Clubbing, Capillary refill
1) Inspection = Thoracic configuration + Breathing patterns
AP diameter Tachypnea, Bradypnea, Dyspnea, Apnea,
Kyphosis Pursed lips, Cheyne Stroke, Kussmauls Orthopnea
Scoliosis Platypnes
2) Palpation : Chest movement (symmetry ?), Trachea (Middle ?), Tactile and Vocal fremitus
3) Percussion : Hyperresonance  hyperinflated  COPD (asthma)
* Pneumothorax
4) Auscultation
Normal breath sound = Vesticular, Bronchvesticular, Tracheal sound
Adventitious Lung Sound (ALS) = Rhonchi Crakles Wheezes Stirdor

Four critical life functions = Ventilation , Oxygenation , Circulation , Perfusion
CH 37 Storage and delivery of Medical Gas
Oxygen - Green
Helium – Brown  Severe asthma treatment
Heliox  Severe large airway obstruction
Nitrous Oxygen (N2O) - Light Blue : Anestheic agent Nitric Oxide(NO) – Dilate Pulmonary
Carbon dioxide – Gray blood vessel  Infant
Compressed air – Yellow
Nitrogen – Black

20.95 : 78.1 in air DISS



Duration = Contents / Flow = Pressure * Factors / Flow

Regulating flow
Reducing valve : ↓ Pressure
Flowmeter : Control gas flow
1) Flow restrictor
2) Boudon gauge - Press
3) Thorpe tube - Flow

Regulator = Pressure + Flowcontrol


Zone valve : Shut off the gas in emergency



NFPA :
CGA: Manufacture & distribution (Label, Color code)



CH 16 Clinical Lab data


4-6 mill/cu mm
↑Polycythemia , ↓Anemia ( blood loss)
Hemorrhage (Bleeding,출혈)

Blood = Blood plasma + Formed elements ( RBC + WBC + Platelet )
↑Leukocytosis, ↓ Leukopenia
5-10,000 per cu mm

Hb : 12-16 g/dl
Hct (Hematocrit ) = % of RBCs in whole blood

Blood chemistry test

Na+ Hyper : due to dehydration


K+ Hyper : Kidney failure HYPO : Vomitting


Cl- Hyper : Diarrhea


HCO3- Hyper :alkalosis
Hypo : acidosis

Saturday, November 14, 2009

Commonly Used Inhalers

1.Beta adrenergic(Sympathomimetic)
- Stimulate b2 receptors directly, generally results in short acting bronchidilation
- Proventil(Albuterol),Methaproterol(Alupent),Formorerol(LA,Foradil),Pirbuterol (Maxair),Salmeterol(LA,Serevent)

2.Anticholinergic(Parasympatholytic,Antimuscarnic)
- Inhibit the effect of Ach, results in bronchodilation
- Tiotropium(Spriva), Ipratropium(Atrovent), Combinent

3.Corticosteroid
- Group of chemical secreted by adrenal cortex(Glucocorticoid,Aldosterone, Estrogen)
- Used for pulmaonary inflammatory disease thru anti-inflammatory effect
- Beclomethasone – QVAR
Triamcinolone acetonide – Azmacort
Flunisolide – AeroBid
Fluticasone propionate – Flovent HFA, Flovent Diskus
Budesonide – Pulmicort Respules, Pulmicort Turbuhaler.
Mometasone furoate Mometasone furoate – Asmanex Twisthaler
Fluticasone propionate/Salmeterol – Advair Diskus
Budesonide/Formoterol - Symbicort


Friday, November 13, 2009

Intubation (ETT, Endotracheal tube)



1. 장점
1) 기도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환기(ventilation)와 산소화(oxygenation)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
3) 기도를 통한 효과적인 흡인을 할 수 있다.
4) 기도를 통하여 응급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5) 위 내용물이나 이물 등이 기도로 흡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Indication
1) 의식이 없거나 심정지(cardiac arrest) 상태인 경우
2)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
3) 호흡부전이 있는 경우
4)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우

3. 삽관시 필요한 기구
1) 후두경 (laryngoscope)
① 성문(glottis)을 노출시키기 위해 필요하며 blade와 handle로 나뉜다.
② blade 모양에 따라 curved blade와 straight blade가 있다.

2) 기관내 튜브 (ETT, endotracheal tube)
① 튜브는 호흡기나 ambu-bag과 연결할 수 있는 15㎜ connector, cuff, beveled tip, inflating tube,pilot balloon 등으로 구성된다.
② 튜브의 크기는 내경으로 표시되며
성인의 경우 남자 7.5˜8.0㎜, 여자 7.0˜7.5㎜ 정도를 사용한다.
③ 소아의 경우 환자의 새끼손가락 굵기(신생아는 2.5˜3.5㎜, 영아는 3.5˜4.0㎜, 소아는 4.0˜6.0㎜)의 튜브를 사용한다.
④ 삽입 길이는 앞니에서 20˜22㎝의 표시가 보이도록 삽입한다.
3) stylet
① 기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싸여 있고 굴곡 조절이 잘 되는 것을 사용 한다.
② 삽관 시 stylet이 튜브보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튜브보다 1.5㎝(1/2inch) 짧게 넣은 후 끝을 꺾어 놓는다.
4) 기타 물품
10㏄ 주사기, Mahif forcep, 수용성 윤활제, 흡인기

4. 삽관방법
* 구강삽권(orotracheal intubation)
기관 내 삽관 방법 중 가장 흔히 사용되며 삽관이 비교적 용이한다 . 그러나 목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는 시행할 수 없으며 불편하며 불안정하여 비계획적제거(extubation)의 위험이 크다.
* 구강 삽관 방법
① 커프를 물 속에서 부풀려 공기가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튜브와 stylet에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다.
② 후두경을 펴서 전구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 후 오른손으로 교차수지법 (corss finger technique)을 사용하여 입을 연다. 이때 환자의 머리를 신전시켜서 구강, 인두, 기관이 일직선이 되도록 해야 한다.
③ 왼손으로 후두경을 잡고 입안 우측으로 들이밀며 혀를 좌측으로 민다.
④ 블레이드(blade)를 밀어 넣을 때 후두개를 덮지 않도록 하며 후두가 잘 보이도록 후두경을 위쪽으로 당겨 올린다. 이 때 후두경을 지렛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⑤ 튜브 삽입 시 보조자가 윤상 연골을 압박하면 성문이 쉽게 노출되고 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⑥ 성문이 개방되면 오른손으로 튜브를 잡고 커프의 proximal end가 성대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1˜2.5㎝ 더 밀어 넣는다.
⑦ 삽관이 완료되면 커프를 부풀리고(6˜8㎖) 튜브의 위치가 적절한지 청진으로 확인한 다.
⑧ 기관 내 튜브가 입술에서 3㎝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자르고 구인두기도기를 삽입한 후 반창고로 단단히고정한다.

Monday, November 9, 2009

CCS: Corticosteroid

CCS:Corticosteroid

1.Corticosteroid 개괄
Corticosteroid는 부신adrenal gland의 주요 hormone group으로 혈당량의 정상수준유지를 도와주며 스트레스,손상등으로 부터 회복을 도와주고(glucocorticoid)체내 수분과 mineral salts의 균형을 조절(mineralocorticoid)한다.다른 Hormone과는 달리 단백동화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인것이 특징이다.다량의 Corticosteroid는염증반응 inflammation을 약화시키고 알러지반응 및 면역계통을 억제한다.

2.Steroid의 임상적 유용성
Corticosteroid는 주로 항염증효과anti-inflammatory effect를 얻기위해 피부,관절,인대에 사용된다.즉,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염증성장관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전신성홍반성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과 같은 결합조직질환connective tissue diseases 등과 같이 면역계의 이상에 의한 염증작용이 문제시 되는 질환에 중요한 치료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그외에 천식asthma의 치료,장기이식에서 거부반응의 억제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암종에서는 백혈병leukemia 같은 혈액암이나 림프종lymphoma등의 치료에 이용한다.

3.작용기전
주로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prostaglandins을 봉쇄하고 면역계에 작용하는 특정 백혈구의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서 그 작용을 나타낸다.

4.Adverse effect as a drug
Mood change,여드름Acne,Moon face,고혈압,insulin의 효과저하,소화성궤양peptic ulcer의 유발,골다공증 osteoporosis

5.Steroid drugs의 복용시 주의사항
Addison's disease환자는 소량만 투여하는 경우에도 세심한 주의를 요하면 정상 성인의 경우 대량/장기투여(수주이상의)시 주의를 요함.항염증효과만을 기대하고 투여하는 경우 동반해서 나타나는 mineralocorticoid의 작용을 주의해야 함.Hydrocortisone의 경우 corticosteroid의 효과와 mineralocorticoid의 효과가 동일하므로 후자의 효과를 고려치 않고 처치시 부종,고혈압,water retention,관절부위의 종대swelling 등을 초래할 수 있다.
Steroid는 insulin의 효과를 줄이므로 당뇨병을 가진 환자가 Steroid를 사용할 때는 주의를 요하며 특히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가족중에 당뇨환자가 있는 경우)Steroid의 장기투여시 당뇨병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또한 성장호르몬의 저하효과도 잇으므로 어린이들은 투여에 주의를 요한다.Steroid의 장기투여는 신체내의 Steroid hormone 생산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갑자가 약을 중단할 경우 심각한 Steroid 금단증상을 나타낼 수 잇으므로 서서히 복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취해야 한다.그러므로 Steroid를 다량 또는 장기복용시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체계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6.주로 사용되는 Steroid drugs(전 page의 steroid.zip파일을 받아서 참고하기 바랍니다.)
Beclomethasone,Betamethasone,Cortisone,Dexamethasone,Hydrocortisone,Methylprednisone,
prednisone,triamcinolone,Fludrocortisone

7.HPA axis(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여러가지 스트레스의 상황(physical,emotional,chemical,physiological)이 닥쳤을때 hypothalamus는 CRH(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를 분비하며 이것은 Anterior pituitary에 작용하여 ACTH(adrenocorticotropic hormone)를 분비시킨다.ACTH의 작용은hypothalamus에 작용해서 CRH의 더이상의 분비를 억제하며(turn off the "turn-on"signal),pituitary gland 에 작용,자신의 분비를 억제(negative feedback)한다,그러나 주기능은 부신adrenal gland에 작용하여 primarily cortisol인 glucocorticoid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서 전신에 그 효과를 드러내게 된다.최종hormone인 Glucocorticoid역시 CRH,ACTH의 분비를 억제하는negative feedback을 함으로서 3 tissue간의 호르몬 분비축의 긴밀한 균형유지를 돕고 있다.정상시에는 이와같은 hormone분비의 조절축이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Steroid를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장기투여하는 경우 HPA axis 가 억제되어 ACTH가 분비되지 않게 된다.이 같은 상황에서 Steroid투여를 갑자기 중단할 경우 HPA axis가
정상으로 돌아도는데는 정상성인으로서도 수주이상이 걸릴 수 있다.